반응형
폐업 후에도 계속되는 세금 신고 종류와 처리법 (2025)
“사업 접었는데 또 세금 신고하라니요?” 폐업했다고 끝이 아닌 이유와 해야 할 일 정리

1. 폐업해도 세무 의무는 남습니다
사업자등록을 말소(폐업)했다 하더라도, 사업 중 발생했던 매출과 비용에 대한 **정산 신고 의무는 여전히 존재**합니다.
특히 부가세, 종합소득세, 원천세 등은 **폐업일 기준 이후 일정 기간 내 신고 필수**입니다.
2. 폐업 후 반드시 해야 하는 세금 신고 3가지
- ① 폐업 부가가치세 신고 - 폐업일 속한 분기의 마지막 달 다음 달 25일까지 신고 - 예: 6월 15일 폐업 → 7월 25일까지 신고 - **매출/매입 자료 정리 후 최종 정산 필요**
- ② 폐업 연도 종합소득세 신고 - 폐업한 해의 1월~폐업일까지의 소득을 다음 해 5월에 **종합소득세로 정산** - 국세청에서 자동 고지되지 않으므로 **직접 홈택스에서 신고 필수**
- ③ 원천세 신고 (직원 있었던 경우) - 급여 지급이 있었다면 **해당 달의 원천세를 다음 달 10일까지** 신고 - 폐업과 동시에 직원 퇴사 처리 필수
3. 폐업 절차 중 흔히 놓치는 부분
- ❗ 홈택스에서 사업자등록 말소 후, **부가세 신고는 따로 해야 함**
- ❗ 폐업연도 종합소득세 신고 누락 시 가산세 발생
- ❗ 현금영수증·세금계산서 미전송 자료 존재 시 불이익
- ❗ 폐업 신고했어도 **매출 누락은 세무조사 대상**
💡 폐업일 전후 1개월은 세무 정리에 가장 중요한 ‘세무 마무리 기간’입니다.
4. 자주 묻는 질문 (FAQ)
Q1. 폐업신고만 하면 세금 신고는 안 해도 되나요?
A. 아니요. **폐업신고는 등록 말소일 뿐**, 정산 신고(부가세·소득세 등)는 **각 신고 기한에 맞춰 별도 제출**해야 합니다.
Q2. 폐업 연도 소득이 적어도 종합소득세를 꼭 내야 하나요?
A. 네. **신고 의무는 소득 규모와 관계 없이 발생**합니다. 단, 실제 납부할 세금이 없거나 환급받을 수도 있으니 꼭 신고하세요.
5. 마무리: 폐업은 끝이 아니라 ‘세무의 마무리’입니다
사업을 접는 순간이 곧 **세무정리의 출발점**입니다. 폐업 후 1~6개월 동안 해야 할 신고가 누락되면 가산세, 세무조사 등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반드시 **홈택스에서 폐업일 기준 신고 기한을 확인하고 정리**하세요.
반응형